주식을 공부하게 되면 배당금이라는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. 주식 투자자 분들의 투자 유형은 정말 여러 가지가 있는데, 이 배당금 수익을 목표로 두고 투자를 하시는 투자자 분들도 많습니다. 주식 배당금 투자는 도대체 뭘 뜻하는 걸까요? 그리고 어떻게 하면 받을 수 있을까요? 오늘 포스팅은 주식 배당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목차
- 주식 배당금이란?
- 배당 주식의 유형
- 현금 배당
- 주식 배당
- 주식 배당금 받는 방법
- 주식 배당금 지급 날짜
- 연기 배당(년 배당)
- 반기 배당
- 분기 배당
- 주식 배당금 지급 날짜
- 배당 주식의 장점
- 배당 주식을 선택 하는 방법
주식 배당금이란?
주식 배당금이란 기업의 한 해 이익을 주식을 가진 주주들에게 일정만큼을 배분하는 것을 말합니다. 주식 배당은 연기 배당, 반기 배당, 분기 배당 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업은 한 해마다 년기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 해당 주식의 주식 배당금을 확인하려면 아래 이미지처럼 해당 종목의 배당 수익률을 확인하면 됩니다. 배당금이 높은 회사는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배당 주식의 유형
배당 주식은 다음과 같이 두가지 유형의 배당 방식이 존재합니다.
- 현금 배당
- 주식 배당
현금 배당
현금 배당은 말 그대로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 금융 시장 대부분의 배당 지급 방식으로 채택되고 있으며,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증권 계좌에 배당 날짜에 맞춰 현금으로 지급이 되는 방식입니다. 증권 계좌 가입을 할 때 입력한 주소로 배당금 통지서가 배부되게 됩니다.
주식 배당
주식 배당은 배당금을 보유한 기업의 주식으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. 현재에는 많은 기업들이 채택하지 않은 방법이지만, 회사 재무 관리를 위해 이 주식 배당 방법을 채택하는 기업도 존재합니다. 주식 배당 방법은 주식의 발행 수를 늘려서 배당을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주주들 보다 기업의 이익에 포커스를 둔 방식입니다. 주식 배당을 과도하게 된다면 주식의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도 있으니, 잘 확인하셔서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.
주식 배당금 받는 방법
주식의 배당금을 받으려면 배당 수익률이 존재하는 해당 주식을 배당 기준일 2일 전까지는 매수하여 보유해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그래서 배당 수익률이 높은 주식은 배당일이 다가올수록 주식의 가격이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.
주식 배당금 지급 날짜
주식 배당금의 지급 날짜는 주식마다 다르게 적용됩니다. 대부분 년 배당을 하기 때문에 한 해의 증권 시장 마지막 날인 12월 30일에 배당이 됩니다. 하지만 국내의 몇몇의 주식들은 분기 배당과 반기배당을 시행하고, 해외 주식 중 일부는 달마다 배당이 되는 주식도 존재합니다. 일반적으로 주식 배당금 지급 날짜는 다음과 같은 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.
*단 회사마다 배당을 하는 날짜는 다를 수 있으니 꼭 해당 주식의 재무 표를 확인하시는 것이 옳습니다.
연기 배당(년 배당)
구분 | 년기 배당 |
배당 기준일 | 12월 30일 |
반기 배당
구분 | 상반기 | 하반기 |
배당 기준일 | 6월 30일 | 12월 30일 |
분기 배당
구분 | 1분기 | 2분기 | 3분기 | 4분기 |
배당 기준일 | 3월 31일 | 6월 30일 | 9월 30일 | 12월 30일 |
배당 기준일까지 주식을 들고 있으면 그 이후에는 판매를 해도 배당이 지급됩니다. 실제 배당 지급일은 배당 기준일 기준 1달 반에서 2달사이에 지급이 완료 됩니다. 월 마다 배당을 하는 기업은 따로 재무표를 확인하시길 권장해드립니다.
배당 주식의 장점
배당 주식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 그 중 대표적인 장점을 꼽으면 다음과 같은 3가지를 뽑을 수 있습니다.
- 다른 주식들 보다 비교적 리스크가 적음
- 배당금은 적금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정한 날마다 돈이 들어옴
-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우 유리함
배당 주식을 선택 하는 방법
처음 배당 주식을 알게 되면 배당이 높은 기업이 무조건 좋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만 큰 오해입니다. 대부분의 고 배당 주식들은 금융업 같은 은행 기업이 고 배당을 실시하게 됩니다. 하지만 배당금은 회사의 이익을 배분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무분별한 배당 지급은 오히려 기업의 미래에 악영향을 끼칩니다.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.
- 기술 개발을 거듭해야 할 기업이 회사의 자본을 연구비로 투자하지 않고 배당 비율이 높은 경우
- IT 기업
- 반도체 기업
- 제약 & 바이오 기업
- 단순 주가 방어를 위해 배당금을 올리는 경우
- 재무가 부실한 기업
단순히 배당금이 높다고해서 좋은 기업이 아니니 기업의 재무표를 확인하고 이 기업이 투자 금액을 배당금에 비중을 크게 둬도 괜찮은 기업인가 등 잘 따져보시고 선택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.
함께보면 좋은 글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 차트 보는 방법 (주식 차트 핵심 3가지) (0) | 2022.12.07 |
---|